이번 포스팅에서는 FFmpeg를 로컬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FFmpeg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이므로 여러 운영 체제에 맞게 설치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특별한 케이스에서는 직접 빌드해야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한다. 이를 감안하여, FFmpeg를 설정하는 여러 방법을 정말 간단하게 소개하려고 한다.
FFmpeg 설치 방법
총 2가지 방법이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방법 1. 직접 빌드하기
FFmpeg의 소스 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직접 빌드할 수 있다. 소스 코드는 FFmpeg의 Git 리포지토리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컴파일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도 제공된다. 하지만, 이 과정은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며, 추가 도구와 컴파일러 설치가 필요할 수 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이 방법은 추천하지 않는다.
방법 2. 프리 빌드 패키지 사용하기
대부분의 경우, 프리 빌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장 간편하다. 이를 위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패키지 관리자 사용하기: Ubuntu의 APT나 macOS의 Homebrew와 같은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면 FFmpeg와 그 의존성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 수동 설치하기: Windows에서는 FFmpeg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프리 빌드를 다운로드한 후, 환경 변수 설정을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각 운영 체제별 FFmpeg 설치 방법
macOS에서 설치하기
macOS에서는 Homebrew를 사용하여 FFmpeg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Homebrew가 이미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 brew install ffmpeg
$ ffmpeg -version // 설치 확인 용도
Ubuntu에서 설치하기
Ubuntu에서는 APT를 사용하여 FFmpeg를 설치할 수 있다.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로 APT 패키지를 업데이트 한 후, 설치를 진행한다.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ffmpeg
$ ffmpeg -version // 설치 확인 용도
Windows에서 설치하기
Windows에서는 패키지 관리자가 없으므로, FFmpeg 공식 웹사이트에서 프리 빌드를 다운로드해야 한다.
순서는 아래와 같다.
- https://ffmpeg.org/download.html 로 가서 Windows 로고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여러 링크가 제공된다. 그중 하나를 클릭하여 FFmpeg를 다운로드한다.
- ffmpeg-release-essentials.zip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이 파일은 정적 빌드로, 모든 의존성이 포함되어 있다.
- ZIP 파일을 적당한 경로에 압축 해제한다. 예를 들어, G 드라이드에 압축 해제할 수 있다.
- 압축 해제한 폴더의 bin 폴더를 환경 변수에 추가하여 시스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 Windows 환경 변수 설정을 위해 "환경 변수"를 검색하고 사용자 또는 시스템의 Path 변수에 bin 폴더의 경로를 추가한다.
이후 커맨드 프롬프트를 열고 다음을 입력하여 설치 여부를 확인한다.
Download FFmpeg
If you find FFmpeg useful, you are welcome to contribute by donating. More downloading options Git Repositories Since FFmpeg is developed with Git, multiple repositories from developers and groups of developers are available. Release Verification All FFmpe
ffmpeg.org
마무리
이번 포스팅은 FFmpeg 을 설치할 수 있는 2가지 방법에 대한 소개와 pre-build 라이브러리를 각 OS 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말 간략하게 소개해봤다. 혹시 PATH 를 추가하는 게 뭔지 모르는 초급 개발자 혹은 비개발자라고 하면 아래 링크를 보고 역할에 대해서 이해해 본 후 이번 포스팅을 보면 좋을 것 같다.
'ffmpeg' 카테고리의 다른 글
FFmpeg 소개 및 Transcoding Flow (0) | 2025.01.22 |
---|---|
미디어 Codec & Container 개념 (0) | 2025.01.21 |
Image, Audio, Video 기초 개념 (0) | 2025.01.20 |
Inspecting with ffprobe (0) | 2025.01.19 |
FFmpeg 소개 - 미디어 Transcodeing & Streaming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