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fprobe3

미디어 Codec & Container 개념 FFmpeg 을 사용하거나 미디어 서버를 개발하다보면 "오디오 코덱은 무엇을 사용했는지?", "영상에 컨테이너는 어떤 형태인지" 와 같은 이야기가 오고 간다. 이번 포스팅은 Codec & Container 에 대한 개념을 소개해보고 해당 도메인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컨테이너 포맷(= Container Format) ??  이전 포스팅에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에 대해서 배웠었다. 여기서 추가로 하나 더 이해하면 좋은 개념은 Stream 이다.스트림(Stream)은 데이터, 패킷, 비트 등 일련의 연속성을 갖는 흐름/데이터를 의미하는데 한다.  이러한 스트림(Stream)을 하나 이상 가지고 있는 보관함 역할을 하며 이를 컨테이너 포맷(Container Format) 혹은 래.. 2025. 1. 21.
Image, Audio, Video 기초 개념 미디어 플랫폼을 개발하거나 동영상을 다루다 보면 기초 용어들이 익숙치 않으면 이해가 어려울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말 기초 개념들을 먼저 소개해보고자 한다.Basic Image terminology픽셀 (Pixels)픽셀은 2D 공간에서 점을 나타내는 이미지의 가장 작은 구성 요소이다. 한 이미지는 많은 픽셀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예를 들어, 이미지가 1920x1080 해상도를 가질 경우, 이는 총 2,073,600 픽셀로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해상도 (Resolution)해상도는 이미지의 퀄리티를 표현하며, 픽셀의 수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너비 x 높이' 형태로 표기된다.예를 들어, HD 해상도는 1920x1080, Ultra HD는 3840x2160 등으로 표현된다. 가로세로 비율 .. 2025. 1. 20.
Inspecting with ffprobe 이번 포스팅에서는 FFmpeg 패키지에 포함된 유용한 도구인 ffprobe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려고 한다. ffprobe 란?ffprobe는 미디어 파일에서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고 표시하는 커맨드라인 도구이다. 비디오의 해상도, 코덱 정보, 오디오 스트림의 채널 수 등의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말해보자면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사람과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출력해준다. 미디어 파일의 컨테이너 포맷, 내부 스트림의 형식과 타입을 확인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다. 설치하는 방법ffmpeg 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설치가 된다. 바로 전 포스팅에서 ffmpeg 을 설치하는 가이드를 소개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생략하겠다. ffprobe 사용 방법 및 예제간단하게 .. 2025. 1. 19.
반응형